대상: 우분투 18.04를 막 깔았거나, 회사/프로젝트 때문에 다시 셋업해야 하는 개발자
환경: Ubuntu 18.04 LTS, C++ / Python 기반 개발
리눅스를 처음 깔면 제일 먼저 드는 생각이 이거야.
“이제 뭐부터 하지…?”
이 글에서는 우분투 18.04를 막 설치한 직후,
C++ / Python 개발자가 실제 업무 바로 투입 가능한 상태까지 만드는 기본 세팅을 한 번에 정리해볼 거야.
- 왜 아직도 18.04를 쓰는지
- 어떤 패키지를 깔아야 하는지
- C++ / Python 개발 준비를 어떻게 하는지
를 쭉 보고, 아래 명령어 그대로 따라 치면 되게 쓰려고 한다.
1. 왜 아직도 우분투 18.04를 쓰는가?
지금은 20.04, 22.04 같은 버전도 있고 WSL도 많은데,
왜 굳이 18.04냐? 라는 생각이 들 수 있어.
실제로는 이런 이유들이 많다:
- 회사 기존 프로젝트/빌드 환경이 18.04에 맞춰져 있음
→ 특정 라이브러리 버전, gcc 버전, 드라이버 호환성 때문 - 임베디드/보드 SDK가 18.04 기준으로 돼 있는 경우
→ 예: 특정 보드용 SDK가 “Ubuntu 18.04 + CUDA xx.x” 조합만 공식 지원 - “잘 돌아가는 환경은 굳이 안 건든다”는 실무 마인드
→ 실제 배포/운영 환경이 18.04라 개발 환경도 맞춰야 버그가 줄어듦
그래서,
지금도 18.04를 새로 깔아야 하는 상황이 꽤 많이 나온다.
이 글은 그런 상황을 기준으로 한다고 보면 된다.
2. 언어 설정 & 한글 입력기 간단 정리
처음 설치할 때 언어를 영어로 했든 한국어로 했든,
실제로는 한글 입력 + 영어 UI 조합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.
2-1. 언어/지역 설정 (GUI 기준, 필요하면만)
GUI로 하려면:
- 좌측 상단 Ubuntu 로고 클릭 →
Settings Region & Language메뉴에서- Language: English (또는 Korean)
- Formats: Korea (Korean)
정도로 맞춰주면 무난하다.
터미널에서 로케일을 추가하고 싶다면:
sudo dpkg-reconfigure locales
여기서 en_US.UTF-8, ko_KR.UTF-8 둘 다 선택해서 생성해두면 나중에 편하다.
2-2. 한글 입력기(ibus-hangul) 설치
한글이 안 써지거나 입력기가 꼬였으면
그냥 깔끔하게 ibus-hangul을 설치하는 게 제일 편하다.
sudo apt update
sudo apt install -y ibus-hangul
설치 후:
Settings→Region & LanguageInput Sources에서+버튼Korean (Hangul)추가- 로그아웃 / 재로그인 후
Super + Space등의 단축키로 한/영 전환
여기까지 하면 한글/영어 입력 환경은 일단 끝이다.
3. 기본 패키지 업데이트는 무조건 먼저
우분투를 깔자마자 제일 먼저 해야 할 건 이거 하나다.
sudo apt update
sudo apt upgrade -y
apt update: 패키지 목록을 최신 상태로 동기화apt upgrade: 설치된 패키지를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
이거 안 해두면,
나중에 패키지 설치할 때 “존재하지 않는 버전” 같은 애매한 에러를 만날 가능성이 높다.
4. C/C++ 개발 필수 패키지 설치
이제 C/C++ 개발을 위한 기본 툴을 깔아보자.
4-1. 기본 빌드 도구 (build-essential)
sudo apt install -y build-essential
build-essential 안에는 아래 같은 필수 툴들이 포함되어 있다.
gcc,g++: C/C++ 컴파일러make: 빌드 자동화 도구
4-2. CMake, Git, GDB 등 추가 개발 도구
대부분의 C++ 프로젝트에서 사실상 필수인 애들:
sudo apt install -y cmake git gdb
cmake: 현대 C++ 프로젝트에서 거의 표준 빌드 시스템git: 버전 관리gdb: 디버깅
4-3. 설치 잘 됐는지 버전 확인
gcc --version
g++ --version
cmake --version
git --version
gdb --version
각 명령어에서 버전 정보가 잘 나오면
C/C++ 기본 개발 환경은 준비된 거다.
5. Python3 환경 점검 & 세팅
요즘은 C++만 쓰기보단,
스크립트/툴/자동화용으로 Python을 같이 쓰는 경우가 많다.
5-1. 기본 Python3 버전 확인
python3 --version
대부분 Python 3.6.x 정도가 나올 것이다.
(우분투 18.04 기본 버전)
5-2. pip & venv 설치
pip는 파이썬 패키지 관리자, venv는 가상환경이다.
sudo apt install -y python3-pip python3-venv
설치 후 확인:
pip3 --version
5-3. 가상환경 한 번 만들어보기 (연습 겸)
프로젝트별로 패키지 버전을 관리하려면 가상환경을 쓰는 게 좋다.
mkdir -p ~/dev/python-test
cd ~/dev/python-test
python3 -m venv venv
source venv/bin/activate # 가상환경 활성화
프롬프트 앞에 (venv)가 붙으면 성공이다.
간단히 패키지도 하나 설치해보자:
pip install requests
다 했으면 가상환경 종료:
deactivate
이 정도만 익혀두면
나중에 Notion API,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할 때도 그대로 써먹을 수 있다.
6. 시간대, 키보드, 기본 편집기 설정
6-1. 시간대(Timezone) 설정
서버/로그 분석을 할 일이 있다면,
시간대가 꼬여 있으면 디버깅이 훨씬 귀찮아진다.
sudo timedatectl set-timezone Asia/Seoul
timedatectl
마지막 출력에서 Time zone: Asia/Seoul이면 설정 완료.
6-2. 키보드 레이아웃 (필요할 때만)
영문 자판/한글 자판을 섞어서 쓰거나
기본 설정이 애매하면 GUI에서 한 번 정리해주자.
Settings→Region & Language→Input Sources에서
필요한 레이아웃만 남기고 정리.
6-3. 기본 편집기(에디터) 선택
최소한 하나는 터미널에서 바로 쓸 수 있는 편집기를 익혀 두는 게 좋다.
nano: 진입장벽 낮은 초보용vim: 익숙해지면 강력
nano가 편하면 이렇게 기본 에디터로 설정해둘 수 있다.
sudo update-alternatives --config editor
리스트에서 nano를 선택해두면,sudoedit, crontab -e 같은 명령에서 자동으로 nano가 열린다.
이 정도 세팅까지 끝냈다면,
이제 진짜로 “우분투 18.04 개발환경이 준비된 상태”라고 봐도 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