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상: Make.com으로 Slack/Notion/Google Workspace/GitHub 등을 자동화해보고 싶은 개발자 & 파워유저
환경: Make.com (웹 서비스), 최신 브라우저만 있으면 됨
1. 문제/주제 요약
- “Zapier 말고 Make.com 많이 쓰던데, 어떻게 시작하지?”
- “무료로 어디까지 쓸 수 있고, 요금제는 어떻게 나뉘지?”
- “시나리오 만들 때 나오는
Trigger / Action / Tools / Iterator같은 모듈이 도대체 뭐야?”
이 글에서는 처음 Make.com 계정을 만들고 워크플로우(시나리오)를 돌리기 위한 최소 설정과 함께,
- 요금제(Free/Core/Pro/Teams/Enterprise) 구조
- 지원하는 모듈 종류(앱 모듈 / 툴 모듈, Trigger/Search/Action/Universal)
을 한 번에 정리한다.
2. 원인/배경 설명 (요금제 + 모듈 구조 이해)
2-1. Make.com에서 쓰는 단위: Operation(크레딧) 개념
Make.com은 월마다 쓸 수 있는 Operation(크레딧)을 기준으로 요금제가 나뉜다.
대부분의 일반 모듈은 1번 실행 = 1 operation 정도로 생각하면 편하다.
- Trigger 모듈
- 새 데이터 있는지 “확인”할 때마다 보통 1 operation
- Search 모듈
- 한 번 검색 요청 = 1 operation
- Action 모듈
- 처리하는 데이터(번들) 1개당 보통 1 operation
AI 관련 모듈은 토큰 수에 따라 더 많은 operation이 들 수 있으니, 초반에는 일반 모듈 위주로 연습하는 걸 추천한다.
2-2. 요금제 큰 그림
(금액/크레딧은 수시로 바뀔 수 있으니, 실제 결제 전에는 반드시 공식 Pricing 페이지를 다시 확인할 것)
- Free
- 월 약 1,000 operations 안팎
- 개인 실험/PoC, 간단한 자동화 테스트용
- Core
- 월 10,000 operations 수준(대표적인 입문 유료 플랜)
- 개인/프리랜서가 실제 업무 자동화하기 좋음
- Pro
- Core보다 더 많은 operations + 고급 기능(우선 실행, 더 긴 로그 보관 등)
- 자동화가 많아지고 복잡해질 때 고려
- Teams
- 팀원 권한 관리, 템플릿 공유, 협업 기능 필요할 때 쓰는 플랜
- Enterprise
- 대규모 회사 용, SLA/보안/컴플라이언스/전용 지원 등 커스텀 계약
실무적으로는:
- Free로 개념 익히고 PoC까지
- 자동화 개수가 늘어나면 Core
- 팀 단위 운영이면 Teams/Enterprise
이런 흐름이 많다.
2-3. Make.com 모듈 구조 큰 그림
Make에서는 워크플로우를 Scenario(시나리오)라고 부르고, 그 안에 있는 각 블록을 Module(모듈)이라고 부른다.
모듈은 크게 두 축으로 볼 수 있다.
- 무엇을 하는가?
→ Trigger / Search / Action / Universal - 어디에 속하는가?
→ App / Tool
1) 역할 기준 모듈 타입
- Trigger
- 외부 서비스의 변화를 감지해서 시나리오를 “시작”시키는 모듈
- 예:
Gmail > Watch emails,Google Sheets > Watch new rows
- Search
-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찾을 때 사용
- 예:
Search records,List rows
- Action
- 실제로 “무언가를 하는” 모듈 (추가/수정/삭제/전송 등)
- 예:
Create a record,Update an item,Send a message
- Universal
Make an API call처럼, 제공되는 기본 모듈로 안 되는 API 엔드포인트를 직접 호출할 때 사용- 커스텀 API 통합에 유용
2) 앱 vs 툴
- App 모듈(Apps)
- Google Sheets, Slack, Notion, GitHub, Jira 같은 외부 서비스와 연결되는 모듈
- 각 앱마다
Trigger,Search,Action,Make an API call등이 있다.
- Tool 모듈(Tools)
- 외부 서비스가 아니라 데이터 가공/제어용 도구
- 예:
Iterator(배열 → 여러 번들로 분해)Array aggregator(여러 번들 → 하나의 배열로 합치기)Router(분기 처리)Filter(조건문)Data store(간단한 키-밸류 저장소)Compose a string,Set variable등
이 구조만 이해하고 있으면, 대부분의 튜토리얼을 볼 때
“아, 이건 App Action 모듈이구나 / 이건 Tool Router구나” 하고 쉽게 따라갈 수 있다.
3. Make 워크플로우 초기 설정 순서
이제 실제로 처음 Make.com에 가입해서 간단한 시나리오 1개를 만드는 전체 흐름을 단계별로 정리해보자.
3-1. 계정 생성 & 기본 설정
- Make.com 접속 후 회원가입
- Google, GitHub, 이메일 계정 등으로 가입 가능
- 워크스페이스 생성
- 개인용이면 본인 이름이나
personal-automation정도로 생성 - 나중에 Teams 플랜을 쓰면 팀 워크스페이스를 따로 만들어 협업 가능
- 개인용이면 본인 이름이나
- 기본 설정 확인
- 오른쪽 상단 프로필 →
Settings에서- Time zone: 한국이면
Asia/Seoul - Date/Time format: 본인 선호대로 변경
- Time zone: 한국이면
- 오른쪽 상단 프로필 →
3-2. 첫 Scenario 만들기 예시
(Gmail → Slack 알림)
이해하기 쉬운 예제로,
Gmail에서 특정 라벨에 메일이 오면 Slack 채널로 알림을 보내는 시나리오를 만들어보자.
- 대시보드에서
Create a new scenario클릭 - 빈 캔버스가 나오면 첫 번째 모듈(Trigger) 선택
- 앱 리스트에서
Gmail검색 →Watch emails같은 Trigger 선택
- 앱 리스트에서
- Gmail 연결(커넥션) 생성
Add버튼 → 구글 로그인 → 권한 허용
- Trigger 조건 설정
Label,Folder,Only unread등 필요한 조건 설정
- 두 번째 모듈(액션) 추가
- 캔버스 오른쪽에 있는
+클릭 → 앱에서Slack선택 →Create a message같은 Action 모듈 - Slack 워크스페이스 연결 후, 채널/텍스트 매핑
- 캔버스 오른쪽에 있는
- 상단의
Run once버튼으로 테스트 실행- Gmail에 테스트 메일을 보내고
- 시나리오를 실행해서 Slack에 메시지가 오는지 확인
이 정도만 해보면 Trigger + Action + App Connection 구조를 바로 이해할 수 있다.
3-3. 스케줄 설정 & 시나리오 활성화
- 캔버스 상단/하단에서 스케줄(Schedule) 메뉴를 찾는다.
- 다음 중 하나로 설정:
- Every 15 minutes / 5 minutes 등 주기적 실행
- 웹훅 기반 Trigger라면, 이벤트 발생 시 바로 실행
- 오른쪽 상단의 토글 스위치로 Scenario 활성화
💡 무료 플랜은 실행 간격 및 동시 실행 가능한 시나리오 수가 제한적이다.
너무 자주 돌리거나 시나리오를 많이 켜두면 금방 크레딧을 소모한다.
3-4. 크레딧/사용량 확인
- 프로필 아이콘 →
Billing또는Usage메뉴로 이동 - 현재 플랜(Free/Core/Pro 등)과 남은 operations 확인
- operation 계산 시 고려할 것들:
- Trigger는 새 데이터가 없어도 “체크”하는 순간 1 operation이 드는 경우가 많다.
- Search/Action 모듈이 여러 개면, 한 번 실행 시 여러 operation이 소모된다.
- Iterator로 데이터를 쪼개면, 뒤에 오는 Action 모듈은 쪼개진 건수만큼 더 실행된다.
자동화가 늘어날수록, 이 사용량 페이지를 보면서
언제 Core/Pro로 업그레이드할지 판단하는 용도로 쓰면 좋다.
3-5. 지원 모듈 종류 정리 (초보용 요약)
(1) App + Trigger/Search/Action 예시
- Gmail
- Trigger:
Watch emails - Action:
Send an email,Reply to an email
- Trigger:
- Google Sheets
- Trigger:
Watch new rows - Search:
Search rows - Action:
Add a row,Update a row
- Trigger:
- Slack
- Action:
Create a message
- Action:
- Notion
- Search:
Search database items - Action:
Create a page,Update a page
- Search:
이들은 모두 App 모듈이고, 각 모듈 안에 Trigger/Search/Action 타입이 섞여 있다.
(2) Tools 모듈 (데이터 가공/흐름 제어)
- Iterator
- 배열(예: 여러 개의 첨부파일)을 여러 번들로 쪼개서 다음 모듈이 하나씩 처리하게 만듦
- Array aggregator
- 여러 번들을 다시 하나의 배열로 합칠 때 사용
- Router
- 조건에 따라 다른 경로로 분기 (IF-ELSE 같은 느낌)
- Filter
- “이 조건이면 이 경로로 보내고, 아니면 버린다” 같은 조건문
- Data store
- 간단한 키-값 저장소; 토큰/ID/상태 값 등을 임시로 저장할 때 사용
- HTTP / Webhooks
- 아직 앱이 없는 외부 서비스와 직접 API 통신할 때 사용
처음에는 App 모듈만으로도 충분하고,
익숙해지면 Tools 모듈을 섞어서 로직을 복잡하게 만들면 된다.
3-6. 간단 예시 시나리오 구조
예:
“매일 오전 9시에, Notion DB에서 오늘 할 일 가져와서 Slack으로 보내기”
- Trigger (Tools > Scheduler)
- Every day at 09:00
- Notion > Search database items (Search 모듈)
Date == 오늘&Status == "Todo"
- Tools > Array aggregator (선택)
- 여러 개의 todo를 하나의 텍스트/배열로 합치기
- Slack > Create a message (Action 모듈)
이 정도만 만들어봐도
Trigger → Search → (Tools) → Action 구조를 감 잡을 수 있다.
4. 추가 팁 / 자주 하는 실수
4-1. 무료 플랜에서 흔한 실수
- Trigger를 너무 자주 돌리기
- 1분 간격으로 돌리면, 1시간에 60회 실행 → operations가 순식간에 소모
- Free에서는 15분/30분 등 느슨한 주기로 돌리는 것을 추천
- 테스트 시나리오를 꺼두지 않기
- 테스트용으로 만든 시나리오를 계속 켜두면, 의미 없는 실행에 크레딧이 날아감
4-2. 모듈 구조에서 헷갈리는 부분
- Search vs Get
Search는 여러 개 결과를 가져오고, 필터링 가능Get은 특정 ID 1개만 가져오기 (번들 1개 리턴)
- Trigger를 두 개 이상 넣고 싶을 때
- 일반적으로 하나의 시나리오에서는 Trigger는 1개만 사용
- 나머지는 Search/Action으로 이어 붙인다.
- Iterator/Array aggregator를 너무 빨리 쓰는 것
- 처음부터 복잡하게 가지 말고
“Trigger → Action 하나로 끝나는 시나리오”부터 여러 개 만들며 감을 잡는 게 좋다.
- 처음부터 복잡하게 가지 말고
4-3. 크레딧 최적화 팁 (입문 단계)
- Search 모듈의 Limit 값을 적절히 줄여서, 한 번에 너무 많은 데이터를 가져오지 않기
- 필요 없는 필드/데이터는 중간에서 잘라내거나 아예 가져오지 않기
-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해서 가져오는 시나리오는
- Data store에 캐시했다가 읽어오는 구조를 고려
5. 정리
- Make.com은 operation(크레딧) 기반 요금제로, Free/Core/Pro/Teams/Enterprise 플랜이 있으며,
보통 Free로 시작 → Core/Pro → 팀이면 Teams/Enterprise로 확장하는 흐름이 많다. - 워크플로우(Scenario)는 Trigger → Search/Action → Tools(App/Tool 모듈) 구조로 이루어지며,
App 모듈은 외부 서비스, Tool 모듈은 데이터 가공/제어용이다. - 초기 설정은 계정 생성 → 워크스페이스/타임존 설정 → 첫 Scenario 생성(간단 예시) → 스케줄/크레딧 확인 순서로 진행하면 된다.
- 처음에는 간단한 Trigger+Action 시나리오부터 만들고, 익숙해질수록 Search/Iterator/Router/Data store 같은 툴을 추가해
복잡도를 높여가는 전략이 가장 안전하다.